‘코로나 수혜’ 자전거 시장으로 본 교통정책 변화의 목소리와 방향

코로나 피한 자전거 시장  

코로나 사태는 사회 전반에 직격탄이 됐습니다. 그렇치만 예외도 있었습니다. 성장세를 띠고 있는 자전거 시장의 얘기입니다. 전염병이라는 무서운 변수가 개인 이동수단인 자전거 이용에 대한 관심을 불러왔기 때문입니다.  

자전거 판매량 꿈틀

자건거 판매는 급증했고, 변화는 세계 곳곳에서 나타납니다. 프랑스는 이동제한조치 해지(5월11일) 후 하루 판매량이 약 4000대 이상 늘었습니다. 일평균 코로나 확진자 수가 4000명 이상(2020년 8월 기준) 육박하고 있는 페루도 지난 5월부터 자전거 수입이 치솟아, 7월까지만 160만 달러 규모로 시장이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달라진 시장 분위기 

국내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금융연구소가 분석한 ‘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 행태의 변화’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자전거 업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성장했습니다. 매출 증가 상위 10개 업종 가운데 최고입니다. ‘공유자전거’ 이용도 늘어, 서울시 따릉이의 올해 1~7월 대여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최고 69% 증가했습니다. 

패러다임의 변화 

대중교통 이용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인식도 생겨났습니다. 네덜란드 교통정책연구소가 현지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6월말~7월초)에서 코로나로 대중교통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 중 52%는 “종식 후에도 계속 이용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교통정책 변화의 목소리

시장은 이렇게 평가합니다. “약 반년 이상 이어진 코로나로 일상속 통행 패턴은 크게 변해,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졌다. 대중교통과 공유수단의 활성화를 목표로 해온 기존 교통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

이는 늘어날 개인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의 수요와 현재 진행형인 기후위기를 아우른 보다 ‘그린화’한 생활패턴으로 변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무탄소 교통수단까지의 ‘공존’ 

문제는 지금의 변화를 얼마나 면밀히 살피고 있느냐는 것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무탄소 생태교통 수단의 확대를 고려해 자전거나 전동킥보드 등 제도 정립과 전용도로 확대가 필요하다. 도로에 모든 교통수단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야 한다”고 설명합니다.

제도적 한계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는 이러한 공존을 제대로 담기에는 역부족으로 보입니다. 관리보다는 공급에 쏠려있는 국내의 제도적 한계가 이를 뒷받침합니다. 공유 경제 바람을 타고 ‘폭풍 성장’한 전동킥보드의 사례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섣부른 공급은 금물 

요즘 보도나 차도 등 일상 속 곳곳에 널브러져 있는 공유 전동킥보드들이 쉽게 눈에 띕니다. 앱으로 간단히 빌리고 원하는 곳에 주차와 동시에 반납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되레 사회 갈등 요인으로 작용한 셈입니다. 하지만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규정은 현재로선 미비합니다.

이 가운데 자전거 도로로의 통행 허용과 만 13세 이상이면 운행에 제한을 없앤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오는 12월10일부터 시행됩니다. 규제가 보다 완화된 것입니다. 

제대로 변화에 적응하려면···

환경부의 가장 최근 자료인 2018년 국내 온실가스 배출은 7억2700만톤CO₂eq(이산환탄소 환산톤)으로, 전년 대비 2.5% 또 늘었습니다. 

자전거 등 무탄소 교통수단이 언택트 수혜를 업고 향후 교통정책의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은 분명 긍정적입니다. 다만, 사회갈등 요인 등 부정적인 요소에 대한 균형 잡인 제도의 정립이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졌습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