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진보강율 학교 36.7%, 전기통신설비 47.6%, 폐기물매립시설 48.6%

[환경일보]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지진이 발생할 경우 재해가 우려되는 시설물에 대해 내진성능 확보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지만, 확인 결과 시설물 별로 천차만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생활하는 학교시설이나 지진 발생 시 통신장애나 오염물 누출 등으로 인해 더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전기통신설비 및 폐기물매립시설 등에 대한 내진 보강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전체 학교시설물 3만2896개소 중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한 곳은 36.7%인 1만2070개소에 불과했다.

전체 시설물 18만7950개소 중 내진보강 기준을 충족하는 시설물은 2/3가 채 되지 않는 62.3%인 11만7165개소였다.

전기통신시설은 전체 설비 중 47.6%(84개소 중 40개소), 폐기물 매립시설의 경우 전체 시설 중 48.6%(387개소 중 188개소)의 내진율을 보이며, 내진보강 조치가 미흡한 편으로 나타났다.

보통 일반주택이나 건물에 해당하는 건축법에 따른 공공건축물(2층, 또는 연면적 200㎡ 이상, 모든 주택)의 내진율도 35.1%(5만6023개소 중 1만9675개소)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또한 전체 시설물 18만7950개소 중 내진보강 기준을 충족하는 시설물은 2/3가 채 되지 않는 62.3%인 11만7165개소였다.

정부는 기존 공공시설물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해 5년마다 내진보강 계획을 수립하며 추진 중이며, 현재 2단계(2016년~2020년) 기본계획이 진행 중이다.

지난해 12월 수립한 제2차 지진방재 종합계획에 따라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공공시설물의 경우 5단계(2031년~2035년) 기본계획이 완료되는 2035년까지 내진보강을 완료할 것이라는 것이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의 방침이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 시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원자로(98.3%) 및 전력시설(99.0%), 가스(93.0%) 및 석유저장 시설(95.7%) 등은 대부분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하고 있지만, 여전히 내진보강이 필요한 시설이 남아 있다.

김병관 의원은 “2016년 경주 지진이나 2017년 포항 지진 등에서 나타났듯이 더 이상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라 할 수 없는 만큼 주요 시설물들에 대한 내진보강 조치가 조속히 마무리돼야 한다”며 “특히, 아이들이 오랜 시간을 보내는 학교나 대형참사 및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시설물들에 대한 내진보강을 우선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