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족도 조사 결과 평균 3.93점(5점 만점)으로 높아


[환경일보] 김봉운 기자 = 공공부문의 정규직 전환으로 비정규직의 처우가 전반적으로 개선됐고, 정규직으로 전환된 자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은 공공부문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노동자 1815명과 정규직 전환 기관 430개를 대상으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자의 만족도 및 실태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정규직 전환 이후 처우 개선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 전환 이후의 임금 수준은 평균 2783만 원으로 전환 이전의 평균 2393만 원보다 391만원(16.3%)이 올랐다.

또한 기관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월 급여(수당 포함)는 기간제의 경우 평균 16.9%, 파견·용역은 평균 15.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406개 기관이 응답, 각 기관별로 전환 규모가 큰 3개 직종 대상 조사, 전환 전후 평균 월 급여 변화<자료제공=고용노동부>

한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지침’에 따라 명절 상여금(52.8%), 복지 포인트(62.0%), 급식비(43.4%)가 반영됐다고 응답한 비중이 절반 정도에 이르며,일부 응답자는 교통비, 경조사 휴가, 병가 등도 추가로 받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처우가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전환 이후 복리후생 적용 여부 응답 결과 노동자 조사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정규직 전환자 만족도 조사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자 1815명을 대상으로 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정책 만족도 조사’에서는 만족도가 5점 만점에 평균 3.93점으로 나와 정책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용안정 측면의 만족도가 4.3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응답자의 89%가 긍정적(매우 그렇다~그렇다)으로 답변해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이라는 정책 취지가 상당 부분 실현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전반적인 처우 개선 항목’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변한  응답자(매우 그렇다~그렇다)가 63.4%인 반면, 족도는 3.67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아, 향후에도 점진적으로 처우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만족도 항목별 응답결과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아울러 앞으로 1년 안의 이직 의향에 대한 질문에서도 응답자의 72.7%가 전혀 없다고 답해 안정적인 인력 운영이 기대된다.

앞으로 1년 이내 이직 의사 응답 결과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이헌수 공공노사정책관은 “이번 조사를 통해 정규직 전환 정책이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과 처우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정부는 지금까지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노동자 18만명 이상을 정규직으로 전환 결정했으며, 앞으로도 현장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모아 정규직 전환 정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