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가능한 모든 상황 고려해 기후변화 대책 서둘러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최근 46개 세계 유산 빙하에 대한 공동 연구 결과 지금처럼 탄소배출이 계속될 경우 세계 빙하의 절반 정도가 2100년까지 사라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설령 탄소배출량이 낮아진다고 해도 적어도 8곳의 빙하가 없어질 것으로 내다보는데 총 빙하량은 2017년 대비 2100년까지 탄소 배출량에 따라 69%까지 손실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IUCN은 작년 5월에도 해양에서 유례없는 변화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엄중히 경고했다.

이들의 보고서에 의하면 수온상승 및 산성화, 탈산소화와 같은 해양 기후변화는 해양 생태계 뿐만 아니라 어획량과 어류 분포 변화를 초래해 결과적으로 세계 식량안보 등 인류와 사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한 수온이 높아지면 병원균이 더 쉽게 확산돼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발생이 증가하고, 산호초의 백화 현상 등 생태계 훼손으로 인해 관광업을 주업으로 하는 지역의 경제도 타격을 입게 된다.

세계기상기구는 2017년 기후관련 사건으로 약 3,200억 달러의 피해를 입었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기후변화 취약국가로 분류된 한국은 어떤가. 5월을 반쯤 넘긴 상황에서 전국 대부분 지역이 30도를 웃돌며 광주광역시 서구에서는 폭염특보가 발효됐다. 폭염특보제가 도입된 이후 가장 빨리 발표되는 기록을 세웠다.

지구온난화로 한반도는 여름이 한 달 이상 빨라졌다. 작년도 이른 여름부터 폭염을 겪으면서 많은 국민이 힘들어 했고 근본적인 대책의 시급함을 외치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런데 1년이 거의 다 되도록 어떤 대책을 취하고 있다는 흔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 물도 부족하고, 전력도 걱정스러운데 준비 없이 다시 더 뜨거울 것으로 예상되는 여름이 시작되고 있다.

폭염은 인명피해뿐만 아니라 가축, 수산물 폐사 등 재산피해와 환경문제도 유발한다. 2007년엔 폭염으로 사망자 11명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1,574명의 온열 질환자들이 발생했고, 422만여 마리의 가축이 폐사했다.

물 부족, 전략사용 급증, 불쾌지수 상승으로 인한 사회적문제 등 직간접적인 피해도 만만치 않다.

지난 십 수년 동안 전문가들이 기후변화와 폭염의 위험성을 알리며 대응과 적응 대책을 촉구했지만 그 누구도 자기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고, 적절한 예산도 배정되지 않았다.

금년 여름 폭염기간 동안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지만, 가능한 모든 부정적 상황을 예상하고 지자체별로 현황을 파악하고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 실시해야 한다. 이번에도 횡단보도에 그늘막치고, 얼음생수 나눠주는 것이 대책의 전부가 아니기를 바란다.

보이는 곳도 무시하는데 보이지 않는 우리 바다 속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파악이나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미세먼지 속에 또 다른 중요한 현안들이 다 묻혀 버린 것 같다.

저작권자 © 환경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